|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온라인코딩부트캠프
- 코딩테스트
- 리액트
- 온라인코딩
- 웹개발
- 스프링부트
- 내일배움카드코딩
- 온라인코딩학원
- 리액트네이티브강좌
- Web
- JavaScript
- 부트캠프
- 정렬
- C++
- 그리디
- 엘리스트랙후기
- 엘리스
- 프로그래머스
- 후기
- react
- 개발자국비지원
- 백준
- 프론트엔드
- 백엔드
- 프론트엔드학원
- spring boot
- 엘리스트랙
- 알고리즘
- 브루트포스
- 개발자부트캠프
- Today
- Total
All Night Coding
문제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1 또는 X+1로 이동하게 된다.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1초 후에 2*X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수빈이와 동생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수빈이가 동생을 찾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 몇 초 후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수빈이가 있는 위치 N과 동생이 있는 위치 K가 주어진다. N과 K는 정수이다. 출력 수빈이가 동생을 찾는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17 예제 출력 1 4 나의 풀이 : #includ..
문제 항승이는 품질이 심각하게 나쁜 수도 파이프 회사의 수리공이다. 항승이는 세준 지하철 공사에서 물이 샌다는 소식을 듣고 수리를 하러 갔다. 파이프에서 물이 새는 곳은 신기하게도 가장 왼쪽에서 정수만큼 떨어진 거리만 물이 샌다. 항승이는 길이가 L인 테이프를 무한개 가지고 있다. 항승이는 테이프를 이용해서 물을 막으려고 한다. 항승이는 항상 물을 막을 때, 적어도 그 위치의 좌우 0.5만큼 간격을 줘야 물이 다시는 안 샌다고 생각한다. 물이 새는 곳의 위치와, 항승이가 가지고 있는 테이프의 길이 L이 주어졌을 때, 항승이가 필요한 테이프의 최소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테이프를 자를 수 없고, 테이프를 겹쳐서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첫째 줄에 물이 새는 곳의 개수 N과 테이프의 길이 ..
지난 시간에 작성했던 내용을 토대로 로그인 기능을 완성해보고자 한다. 저번 시간에 내가 구현했던 로그인 방식은, axios로 jwt access Token을 서버로부터 받아오기까지만 했다. 하지만 유저 데이터에 접근하는 등의 여러가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access Token을 헤더로 넘겨줘야만 작동하도록 db가 설계되었기 때문에, 서버로부터 받아온 로그인 상태를 저장하고 react 내에서 상태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그것을 위해 redux라는 react의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겠다. 설치방법은 간단하다. 나는 yarn을 사용중이기 때문에 yarn을 이용해 설치를 해보겠다. yarn add redux react-redux 먼저 간단하게 로그인 상태가 맞는지, 아닌지를 저장하는 변수를 redux 내..
저번 시간에 포스팅을 올린 뒤 꽤나 많은 시간이 흘렀다.. 블로그에 포스팅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몇 달이 지나버렸고..... 올해가 끝나기 전에 내가 공부했던 내용들을 다 정리해야 마음이 편할 것 같아서, 늦게나마 포스팅을 해본다. 로그인을 하는 로직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서버에 로그인 요청을 보낸 뒤,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일치한다면 서버에서 보내주는 access token 값을 받아와서 로그인 상태로 바꾸어준다. 또한 일정 시간마다 refresh token을 받아와 access token을 재발급 한다. 이게 끝! 저번 시간에 설치한 axios를 활용하면 구현이 가능하다. function onLogin() { const JWT_EXPIRY_TIME = 24 * 3600 * 1000; return ( ..
문제 설명 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이 있으며,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필요 피로도"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소모 피로도"가 있습니다. "최소 필요 피로도"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 "소모 피로도"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최소 필요 피로도"가 80, "소모 피로도"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 이 게임에는 하루에 한 번씩 탐험할 수 있는 던전이 여러개 있는데, 한 유저가 오늘 이 던전들..